논문 작성 및 투고 규정
 


논문 작성 및 투고 규정


1. 논문은 한글 또는 영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영어 논문의 경우 미국 현대어문협회(MLA)의 규정을 따르고, 한글 논문의 경우는 아래의 규정을 따른다.

3. 논문은 제목을 포함하여 본문에 한자와 영문 등을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쓸 때는 괄호로 처리하지만, 논지 전개상 꼭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언어도 “ ”안에 넣어 예외적으로 쓸 수 있다.

4. 작품명은 한글로 번역하되, 처음 나올 때에 한해 괄호 속에 원어 표기를 제시한다.

5. 인명이나 지명 등의 고유명사는 해당 언어권의 발음에 준하여 한글로 표기하되, 결정이 어려울 때는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 따른다. 이때도 처음 나올 때에 한해 괄호 속에 원어 표기를 제시한다.

6. 인용문은 번역하되, 시의 경우 원문을 번역문 바로 아래에 제시한다. 산문의 경우 번역문만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7. 2행 이상의 긴 시구를 본문 안에 인용하는 경우에 그 원문을 본문의 괄호 속에 표기하지 않고 각주로 처리한다.

8. 본문에 1차 또는 2차 자료를 인용할 때는 한글로 번역하되 필요할 경우 원문을 괄호 속에 표기할 수 있다. 이 때 인용부호는 한글 부분에만 표시한다. 예: “절대”(Absolute)

9. 본문에 짧은 시구를 인용하는 경우, 앞 또는 뒤에 해당 시의 제목을 언급했으면, 그 출처를 밝힐 필요가 없다.

10. 문장 내의 인용문 끝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는다.

11. 모든 논문 뒤에는 250자 단어 내외의 영문 초록을 붙인다.

12. 모든 논문의 영문 초록 뒤에 5개의 영문 Key Words를 첨가하며, 첫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한다. 우리말 논문의 경우 본문이 끝나는 자리에 5개의 한글 키워드를 첨가하며 초록에 영문 Key Words를 추가한다.

13. 직접 인용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따옴표(single & double quotation marks) 한글 자판의 ‘ ’ 혹은 “ ” 로 통일함. 영문 자판의 ' ' 혹은 " " 은 사용하지 않음. 특히 원고 작성 시 한글에서 영어로 전환될 경우나, 인용문헌 및 영문 초록 작성 시 유의.

2) 따옴표와 쉼표 혹은 마침표(quotation marks & comma or period) 끝 따옴표 (end quotation marks) 이전에 쉼표 혹은 마침표를 찍음. ,’ ,” .’ .” 인용문의 출처를 밝히는 경우에는 ”( ) 식으로 빈 칸없이 처리함.

3) 콜론과 세미콜론(colon & semi-colon)영문인 경우에는 원문 그대로 쓰나, 번역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음. 문맥에 따라 마침표나 쉼표로 처리함.

4) 본문 내에서의 인용문, 본문과 분리된 긴 인용문(in-text citation, block quotation) 본문 내에서의 어구 혹은 두 줄 이하의 문장 인용은 “ ” 따옴표 표기 이후 문장 끝에 ( ) 괄호로 출처를 밝힌 후에 마침표를 찍음. 세 줄 이상의 긴 인용문은 본문을 마치고 마침표를 찍은 뒤, 줄을 바꾸어 블록으로 인용한 뒤 ( )괄호로 출처를 밝힘.

14. 말줄임표(ellipsis marks)

(1) 한 문장이 끝나는 것을 지칭하는 마침표(.) 이후 한 칸씩 띄어서 마침 표를 세 번 . . . 입력. 전체적으로 보면 네 개의 마침표 . . . . 가 됨

(2) 문장 중간에서 일부를 줄일 경우 앞과 뒤를 한 칸씩 띄어서 마침표를 세 번 . . . 입력.

(3) 시 인용문에서 1행 이상 줄일 경우, 인용하는 시의 첫 행 길이만큼 마침표를 입력.

예시) . . . . . . . . . . .

15. 하이픈과 대시(hyphen & dash) 단어를 연결할 경우에는 하이픈 - (자판 우측 상단)을 사용함. 보충 설명을 할 경우에는 대시를 사용함. 한글 문서 “입력” → “문자표”에 있는 제일 긴 “―” 사용. 대시(―)를 사용할 경우 앞과 뒤를 띄어 쓰지 않음.

16. 시의 행 혹은 연 (line or stanza) 인용문이 아닌 저자의 본문에 시의 일부를 인용할 경우 행 구분은 / 로 표기하고 연 구분은 // 로 표기함. / 혹은 // 의 앞과 뒤에 한 칸을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함.

17. 본문에서 블록인용을 하는 경우 필자 강조는 영어 원문 뒤에 1회 한다. 한글 번역문에서 강조는 볼드체로 한다. 영어 원문에서 강조는 이탤릭체로 한다.

18. 인용문 출처 표기(in-text citation)문장에서 이미 출처를 지시하는 인명이나 서적명이 있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쪽수만을 표기. 인용문이 원본의 2쪽 이상에 걸쳐있는 경우, 10단위는 00-00으로, 100단위는 000-00으로 표기. 단, 100단위의 숫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000-000으로 표기. 이는 “인용문헌”의 경우에도 동일함.

19. 그 밖의 규정은 미국 현대어문협회(MLA)의 7판 지침서를 따르되, 국내외 서적이나 논문을 인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한다. 인용문헌(Works Cited)으로 처리하는 경우:

(1) 서적(Book): 저자. 책 이름. 편, 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시1) Author. Books. Ed. 혹은 Trans. Place: Publisher, Year. 000-00.

Pondrom, Cyrena. “Conflict and Concealment: Eliot’s Approach to Women and Gender.” A Companion to T. S. Eliot. Ed. David E. Chinitz. London: Blackwell, 2009. 323-34.

예시2) Author, ed. Books. Place: Publisher, Year.

Curnutt, Kirk, ed. The Critical Response to Gertrude Stein. CA: Greenwood P, 2000.

(2) 논문: 필자. 「논문제목」. 지명 권․호수 (간행 년도): 쪽수.

Journal Article: Author. “Titles.” Journal 1.1 (Year): 000-00.

(3) Web:

예시1) “Constitution of Ireland.” Government of Ireland. 2020.

https://www.irishstatutebook.ie/eli/cons/en/html. Accessed 20 May 2024.

예시2)

Logan, William. “Animal Instincts.” The New York Times. 1991. https://archive.nytimes.com/www.nytimes.com/books/99/09/05/specials/hughes-wolf.html. Accessed 9 Feb. 2024.

20. 인용문헌 목록을 작성할 때 한글 문헌을 저자(또는 필자)의 성명 가나다순에 의해 먼저 열거한 다음, 외국어 문헌 역시 저자(또는 필자)의 성명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 단, 같은 저자(또는 필자)의 책 또는 논문을 열거할 때도 제목의 가나다 또는 알파벳순으로 하되, 외국문헌의 경우 책(또는 논문) 제목의 관사(A 혹은 The)는 순서에 포함시키지 않고 그 다음 나오는 단어의 알파벳 순서를 따른다. 편의상 인용문헌의 약자를 미주에 사용할 때는 인용문헌 말미에, 예컨대 국문의 경우 [CP로 표기함], 영문의 경우 [Abbreviated as CP]라고 밝힌다.

21. 원고는 “아래 한글”로 작성하고, 논문의 분량은 본 학회지의 규격으로 25쪽 이내로 한다.

22. 공동저자: 2인 이상의 공동저자 논문에 대한 표기는 제 1저자가 있는 경우, 맨 앞에 쓰고 나머지 저자를 ‘가나다’ 혹은 ‘ABC’ 순으로 쓴다.

23. 원고는 JAMS를 통해 연중 수시로 접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6월 30일 봄호 게재를 위해서는 4월 30일 전후로, 11월 30일 가을호 게재를 위해서는 9월 30일 전후로 원고를 접수할 것이 권장된다. 하지만 연중 수시로 접수된 원고는 각 호의 심사 및 출판 일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게재 호가 결정된다.

24. JAMS 접수가 어려운 경우, 편집장 혹은 해당 권․호의 학회지 편집을 맡은 편집이사에게 e-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연회비(30,000원)와 논문 심사비(60,000원)를 학회계좌로 입금한다. - 편집장(mbapoetryeditor2526@gmail.com)- 학회계좌(수협 2020-4279-2686/예금주: 현대영미시학회 염정인)

25. 논문 게재료는 일반 연구 논문의 경우 200,000원, 연구비 수혜논문의 경우는 300,000원으로 한다. 25쪽을 초과할 경우 1쪽 당 10,000원을 추가 부담하도록 한다.

26. 접수된 논문은 반환하지 않으며, 투고자는 학회가 최종 게재 논문의 저작권을 활용하는 것에 동의한다.